Living Cabinet

2018

research + proposal

무색무취, 임대 오피스의 기준층(typical plan)의 공간은 주거도 될 수 있을까?

오피스 특유의 특성없는 평면을 지칭하는 티피컬 플랜을 주거의 풍경으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거주하는 벽이자 캐비닛을 제안한다. 이는 무색무취의 공간에 경계를 만들어 공간을 구획한다. 
이 벽(캐비닛)은 주거를 위한 공간 자체가 아니다. 주거에 필요한 기능을 담은 장치이자 벽으로서 기능하며 이를 매개로 만들어지는 공간에서 실질적 거주를 한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서 개별 거주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대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고 주거에서 필요한 수납을 수용할 수 있는 보관공간을 만들어주고자 한다.

따로 또 같이 살아가는 빌딩 층단위 공동체 풍경

벽이자 캐비닛으로 기능하는 주거장치는 외부와 내부 수납이라는 기본적 기능과 함께 개인에게 온전히 집중할 수 있는 목욕이라는 기능과 필수적이자 휴식으로서 잠을 위한 기능, 이 세가지 기능에 집중했다. 
이 거주하는 벽은 개인의 공간과 공공의 공간을 나누는 경계로 기능한다. 기존 1인 주거에 비해서 더 많은 개별 공간을 확보하고 필수적, 개인적일 필요가 없는 행위를 더 공적인 공간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오피스 주거 공동체를 구축하는 공간적 기반을 마련했다. 

누구나 거실

기존 오피스 환경의 특성을 활용하여 새로운 공동의 거실 풍경을 구축한다. 기준층의 중성적이고 열린 평면위에 일정 간격으로 전기콘센트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요소를 매립한다. 이를 통하여 도심 빌딩의 한 층 단위의 공동체 문화를 구축하는 공간적 배경으로 계획하고자 한다. 

세탁 라운지

'세탁'이라는 정기적이고 일상에 필수적인 활동은 그 과정에서 기다림이 필수적이다. 이 기다림은 시간을 때우는 것이 아니라 도시에서 가장 극적이고 기대하는 시간으로 만들어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장 전망이 좋은 곳에 라운지 형식으로 세탁실을 조성해주고자 한다. 
도시의 새로운 거주 풍경을 만드는 방법론

도시의 새로운 거주 풍경을 만드는 방법론

Type : Phenomenon + Context + Object

Program : Things for habitation

Location : Typical plan of Rental office

Status : Workshop Awarded

Previous
Previous

시월의 현상 : 서울마루 사용법 / 2019